2014년 6월 6일(금)~13일(금)까지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디자인과 11기 연합전 <누벨 이마주(Nouvelle image)>가 윤디자인연구소 갤러리뚱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모션그래픽적인 기법과 방식을 중점으로 한 복합 영상 전시로 전시명인 ‘누벨 이마주’는 ‘새로운 이미지’를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혹자들은 ''새로운 이미지는 없다.''라는 말을 한다. 미디어의 홍수라고 불리는 디지털 시대에 더욱 어울리지 않는 단어 일 수 있는 이 제목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것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새로움의 압박에서 벗어난 창작의 자유로움에 관한 행위 자체를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전시에 참여한 10인의 작가들은 설치, 프로젝션 맵핑, LED, LCD, CRT 모니터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인간과 사회, 자연과 인공,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끊임없이 단절된 소통을 표현하였다.
김단 작가의 <무제>는 3차원의 공간에 2차원의 이미지를 투사함으로써 환영 효과를 나타내는 작품이다. 청각에 호소하는 음악에 시지각 보조기능을 동원해 영상으로 음악을 표현하고자 했다. 김재석의 <빛과 선>은 평화롭고 신비로운 기운이 넘치는 자연의 빛과 선, 동시에 인간이 과학적으로 만든 인위적인 빛과 선의 느낌을 대조적으로 보여주고자 한 작품이다.
김단 <무제>, Projection Mapping, 02:30
김재석 <빛과 선>, Projection, 04:16
김수연의
김수연
노준모
성혁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은 기계적 이미지와 텍스트를 통해 차가운 하드웨어가 주는 소통을 표현한 작품이다. 스마트폰을 통한 소통의 채널은 많아졌으나, 실질적으로 얼굴을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은 줄었고 소통의 부재가 만연하다. 이로 인한 우울증이나 고독감이 증가한 현실을 통해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이영수의
성혁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Projection Mapping, 03:30
노준모
이준석의 <무제>는 지나간 영상기기 안에 상영되는 현재의 영상을 통해 기술적 변화, 유행의 변화, 문화의 변화, 시간의 변화를 표현한 작품이다. 정창익의 <상념의 공간>은 마음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각들과 자신 사이에는 물리적인 개념은 아니지만, 거리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상념의 공간 속에 거리감을 보여주기 위해서 프로젝션 맵핑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한 작품이다.
성혁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Projection, 04:30
노준모
영상의 한 장면을 캡처한 사진들이라서 이렇게 소개하는 것이 참 아쉽다. 이번 주말 윤디자인연구소 갤러리뚱에 들러 이 깊은 의미를 내포하는 영상들을 직접 보시는 건 어떨까? 이번 전시를 통하여 삶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되짚어 보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여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시기를 바란다.
전시 정보
홍익대학원 영상디자인과 11기 연합전 <누벨 이마주>
기간 : 2014년 6월 6일(금)~6월 13일(금)
장소 : 윤디자인연구소 갤러리뚱(찾아가는 길 보기)후원 : 윤디자인연구소
관람 시간 : 평일 오전 10:00~18:00, 주말 및 공휴일 11:00~17:00
관람 요금 : 무료
'뉴스&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 디자이너 김창식 개인전 <도그토피아: 캐릭터 디자인&타이포그램: 변장 초상화> (0) | 2015.10.21 |
---|---|
‘김기조, 노은유, 강구룡’ 더티&강쇼 2014 여름 심포지엄: 디자이너의 글자 개최 (0) | 2015.10.21 |
[세미나] 더티 & 강쇼 : 제5회 이기준, 옮기기 <종료> (0) | 2015.10.21 |
디자인의 개념과 규칙 만들기, 제4회 더티&강쇼 세미나 후기 (0) | 2015.09.02 |
윤디자인 갤러리뚱, 비밀스럽고 낭만적인 자연의 풍경, 조인증 사진 개인전 <시간의 얼굴> (0) | 201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