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리의 명조꼴 뿌리를 찾아서 얼마 전 한글날이 568번째 생일을 맞이했다. 기나긴 역사만큼이나 한글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해왔다.오늘은 우리 한글 글꼴 중에서 명조(또는 바탕체)의 뿌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훈민정음의 시작은 고딕에 가까운 형태 훈민정음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글꼴은 고딕일까, 명조일까?붓으로 쓴 옛 느낌을 살린 명조꼴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고딕에 가까운 형태였다.‘서양에서 산스(sans)’ 계열이 나중에 만들어진 것과는 정반대다. 출처: 김진평 〈한글 활자체 변천의 사적 연구〉 활자체는 우리나라의 고유 필기구인 붓의 영향으로 인해 창제 이후부터 계속해서 명조체, 궁체, 흘림체 등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시기(1446년)는 세계적으로 인쇄술이 발달한 이후였고, 조선에도 이미 활판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