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태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타이포그래피 서울 보기집> _ '인세'가 아니라 '저작권사용료' 『타이포그래피 서울 보기집』(Typography Seoul Contents Specimen) Vol. 56 ⊙ Category _ Column ⊙ Content _ [김기태의 저작권 이야기] 이효석의 ‘고료’와 오늘날의 ‘인세’ ⊙ Full Article _ [http://www.typographyseoul.com/news/detail/1165] ⊙ Digest _ 한국 근대문학을 이끌었던 소설가 이효석의 수필 「고료(稿料)」는 연재 소설 고료에 관한 글이다. 고료 지급의 개념, 혹은 금액 산정이 언제부터 체계화됐는지를 그는 적고 있다. 신문의 경우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잡지 쪽은 1923~1924년경 확립됐다고 한다. 아울러 당시 고료는 200자 원고지 한 매당 15전이었다고. 이효석의 시대에 ‘고.. <타이포그래피 서울 보기집> _ 여왕의 이름으로 저작권법을 제정하노라 『타이포그래피 서울 보기집』(Typography Seoul Contents Specimen) Vol. 51 ⊙ Category _ Column ⊙ Content _ [김기태의 저작권 이야기] '표절'과 '저작권 침해'는 어떻게 다를까? ⊙ Full Article _ [http://www.typographyseoul.com/news/detail/1160] ⊙ Digest _ 15세기에 이르러 독일에서 구텐베르크가 활판인쇄술을 발명했다. 저작물의 대량 복제와 광범위한 유통이 가능해졌고, 이에 세속적인 통치자들과 성직자들이 그들의 권위에 반대하는 내용의 저작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 내용을 검열하기 위한 방편으로 특정 출판 업자에게만 저작물을 출판하게 하는 출판특허제도(the system of p..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