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이 모호한 유럽을 여행하다 보면 언제 경계를 넘어왔는지 모를 때가 많다. 그러나 가로의 공공표지나 간판의 글꼴을 통해 자신이 다른 나라의 어느 도시에 들어와 있는지 이내 알게 된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권영걸 교수의 이야기처럼 우리나라도 도시마다 서체가 있어 도시와 도시를 구분해주는 하나의 울타리가 된다면 어떨까. 해외 관광객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은 이들만의 문자를 사랑하는 나라구나. 자신만의 문화를 아끼고 계승해내는 나라구나’라고 인식하게 되지 않을까. 윤디자인연구소 영업사원으로서 그런 고상한 상상을 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몇몇 도시들을 돌아다니며 관찰한 서체 이야기를 들려드리겠다.
창원 버스 정류장에서 만난 서울서체
대학교 졸업 후 처음 상경했을 때를 아직 기억한다. 대한민국 수도답게 톨게이트에서부터 서울서체가 잘 활용되고 있었다. 그때 서체를 통해 갖게 된 서울의 첫인상은, 내가 태어나고 자란 도시보다 좀 더 앞서 있다는 느낌이었다. 서체 하나로 도시에 대한 인상이 결정될 수도 있구나, 하고 생각했었다.
내 고향은 자전거의 도시 창원이다. 대학생 시절 자주 이용했던 버스 정류장은 유동인구가 많아 늘 지저분했었다.
오랜만에 가보니 새로 단장되어 있었다. 기분 좋게 버스를 기다리며 앉아 있는데 문득 내 눈에 들어온 건 버스 정류장의 안내 글꼴이었다. 안내판에 버젓이 쓰인 서체는 다름 아닌 ‘서울남산체’.
창원시에서 창원 서체가 아니라 서울서체를 쓴다? 서울서체가 옥외 광고물이나 현수막, 영상 등에 적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고향 창원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나로서는 이해하기 힘들었다. 서울은 서울 나름의 정체성이 있고, 창원은 창원 나름의 정체성이 있지 않나. 게다가 서울서체는 서울의 감성을 담은 것인데, 창원의 공공 사인물에 쓰이고 있다니. 자존심이 상하기까지 했다.
서울 톨게이트 서울 서체 적용 전 [위], 후 [아래] / 출처: 구글
국내 도시별 전용서체 사례 보기
서울서체 말고도 폰트로 개발된 도시별 서체들은 또 있다. 최근에는 도시 상징물(CI)을 정비하면서 전용서체를 만드는 도시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서체를 포함하여 몇 가지 도시별 서체들을 알아보자.
국내 도시 서체 개발 현황
|서울서체|
서울시는 2007년과 2008년 2년에 걸쳐 ‘디자인 서울’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비전과 추진 전략을 세웠다. 그것을 토대로 서울 상징, 서울 색, 서울 서체를 하나씩 개발했다. ‘서울’ 하면 자연스럽게 연상되는 브랜드 경험을 시민들과 방문자들에게 심어주기 위해서였다. 뉴욕 하면 누구나 ‘I ♥ NY’ 슬로건과 노란 택시를 떠올리는 것처럼 말이다.
오랫동안 고유한 글꼴을 갖지 못했던 서울시는 서울시의 시각 질서를 바로잡는 서울 서체를 개발하여 활발히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서울 서체는 무료로 배포되어 사업자, 디자이너,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애용되고 있다.
서울서체 이미지 / 출처: 윤디자인연구소, 서울특별시청
|제주서체|
제주도는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뽑힐 만큼 천혜의 자연 유산과 관광지를 보유하고 있다. 제주도를 대표하는 제주서체는 ‘배려하고 함께한다’는 시각적 친근감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었다. 특히 공공디자인 인프라 조성을 위해 도시 특산품, 포스터, 시설 안내 사인물, 웹페이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성을 높였다.
제주서체 / 출처: 제주특별자치도
|순천체|
순천시 전용서체는 ‘대한민국 생태도시’ 순천의 친절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표현했다. 읽기 쉽고 친숙한 디자인으로 완성된 순천체는 순천의 자연 생태, 문화 유적지 등의 사인에 적용했습니다.
순천체 / 출처: 윤디자인연구소 홈페이지
|예산군, 추사 사랑체|
추사 사랑체는 충남 예산군이 추사 김정희 선생의 서체를 토대로 제작한 전용서체이다. 추사 문화상품 및 지역 농식품의 이미지 제고, 관광산업 진흥, 홍보매체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어 지역 문화사업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추사사랑체 / 출처: 윤디자인연구소 홈페이지
그 밖의 도시 서체 / 출처: 김제시, 부산광역시, 전라북도
도시 서체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도시의 감성과 정체성을 고스란히 담고, 공공디자인 발전에 일조해야 한다. 어느 날 갑자기 우후죽순 유행처럼 개발하는 식이어서는 안 된다.
수준 높은 조형미와 미려함을 갖춘 도시 서체들이 널리 쓰이고 읽혀서 한글의 미적 가치를 통한 도시 아이덴티티 확립이 가능해지기를 바라본다.
| 이 글은 윤디자인연구소 공식 블로그 윤톡톡에 실린
‘영업사원의 고상한 상상, 도시별 서체 이야기’를 옮겨 온 것입니다.
'폰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체디자이너로부터 듣는 매일유업 전용서체 이야기 (0) | 2015.11.10 |
---|---|
우리의 명조꼴 뿌리를 찾아서 (0) | 2015.11.10 |
'바스커빌'은 어떻게 사랑받는 서체가 되었나 (0) | 2015.11.06 |
독특한 제목용 서체, 일본 디자이너 코킨(Kokin)의 'K_이슬' 출시 (0) | 2015.11.06 |
제3회 한글잔치, ‘윤명조윤고딕 해부학’ 후기 (0) | 2015.11.06 |